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올해 1월 재정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.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가 11조 원 넘는 흑자였고, 사회보장성기금수지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 흑자도 8조원을 넘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하지만 통상 1월은 부가가치세 신고납부를 하는 기간이어서 재정이 통상 흑자를 내는 달이다. 올해도 1월 중 부가세 수입은 23조 1000억 원이 걷혀 흑자 시현에 기여했다. 관리재정수지가 117조 원과 65조 원의 대규모 적자를 냈던 지난 2022년과 2023년에도 1월에는 각각 6조 원과 7조 원이 넘는 흑자를 기록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273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RyVI/btsFYEWE4RA/hntdUENlKBpzkWx8q37AFk/img.jp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관리재정수지 추이 (2024년 1월)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RyVI/btsFYEWE4RA/hntdUENlKBpzkWx8q37AFk/img.jp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bnRyVI%2FbtsFYEWE4RA%2FhntdUENlKBpzkWx8q37AFk%2Fimg.jp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273"/></span><figcaption>관리재정수지 추이 (2024년 1월)</figcaption>
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14일 기획재정부가 발간한 '재정동향 3월호'에 따르면 올해 1월 국세 수입은 45조 9000억 원으로 작년 1월보다 3조 원 증가했다. 예산 대비 진도율은 12.5%로 전년 동월보다 1.8%p 상승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국세수입을 세목별로 보면 소득세가 13조 원으로 작년 1월보다 6000억 원 더 증가했다. 취업자 수가 늘고 금리가 상승한 영향이라고 정부는 설명했다. 부가세는 23조 1000억 원이 걷혀 작년 1월보다 2조 3000억 원 늘었다. 예산 대비 진도율도 28.3%로 작년보다 3.4%p 앞서갔다. 정부는 부가세 증가는 작년 4분기 민간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1.0%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. 법인세는 9월 결산법인 환급액이 늘면서 2000억 원 줄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21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1O11w/btsFZWWryXh/DdtjzBPjcBTtwTARMkq3gK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재정수지 추이 (누계 기준) 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1O11w/btsFZWWryXh/DdtjzBPjcBTtwTARMkq3gK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c1O11w%2FbtsFZWWryXh%2FDdtjzBPjcBTtwTARMkq3gK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21"/></span><figcaption>재정수지 추이 (누계 기준) 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</figcaption>
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세외 수입은 2조 4000억 원으로 작년보다 4000억 원 증가했다. 우체국예금특별회계 이자 수입이 3000억 원 늘어난 영향이다. 기금 수입은 보험료 수입 증가(1조 3000억 원)로 작년 동월 대비 2조 3000억 원 늘어난 18조 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국세·세외·기금 수입이 모두 늘면서 총수입은 작년보다 5조 7000억 원 증가한 67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. 진도율은 11.0%로 작년보다 1.2%p 높아졌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1월 총지출은 55조 9000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4조 8000억 원 늘어났다. 진도율도 8.5%로 작년보다 0.5%p 상승했다. 정부는 작년보다 기초생활 보장 등 복지사업 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24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d3Fk/btsFX4OXvmg/9cxEvHNb3vOQOJRjmvx4Fk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재정수지 추이 (2024년 1월 기준) 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9d3Fk/btsFX4OXvmg/9cxEvHNb3vOQOJRjmvx4Fk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9d3Fk%2FbtsFX4OXvmg%2F9cxEvHNb3vOQOJRjmvx4Fk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24"/></span><figcaption>재정수지 추이 (2024년 1월 기준) 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</figcaption>
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br /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1월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11조 2000억원 흑자를 기록했다. 전년 동월 대비 1조 원 늘어났다.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이 포함되는 사회보장성기금수지는 2조 9000억 원으로 작년 1월보다 1000억 원 줄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수지를 제외하고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8조 3000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. 관리재정수지도 작년보다 1조 원 개선됐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하지만 1월은 통상 부가세 수입 등으로 재정수지 흑자가 나는 달이다. 지난 2022년과 2023년 관리재정수지는 각각 117조 원과 64조 9000억 원 적자를 냈지만, 1월에는 각각 6조 6000억 원과 7조 3000억 원의 흑자를 기록했다. 90조 6000억 원 적자를 냈던 2021년에는 1월에도 적자를 기록했지만 1조 8000억 원에 그쳤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기획재정부는 관리재정수지가 2월부터 적자로 전환될 것이라고 예상했다. 기재부는 올해 연간 누적 관리재정수지가 91조 6000억 원 적자를 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04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HCpi/btsFWAgMiAA/vtzg7Y0ftkqJJJfktPEExK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재정 주요 항목별 진도율 (2024년 1월) 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HCpi/btsFWAgMiAA/vtzg7Y0ftkqJJJfktPEExK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THCpi%2FbtsFWAgMiAA%2Fvtzg7Y0ftkqJJJfktPEExK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304"/></span><figcaption>재정 주요 항목별 진도율 (2024년 1월) 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</figcaption>
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</span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올해 2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7조 5000억 원이었다. 1∼2월 국고채 발행량은 29조 9000억 원으로 연간 총발행 한도의 18.9% 수준이다. 2월 조달금리는 전달(3.27%)보다 하락한 3.36% 수준을 보였다.</span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한편 올해 2월 현재 재정 집행 실적은 121조 3000억 원으로 상반기 집행 목표 389조 원의 31.2%였다. 전년 동월 19조 8000억 원 늘어난 규모다. 세부 집행 실적은 재정 112조 7000억원, 공공기관 투자 7조 9000억 원, 민간투자 7000억 원 등이다.</span><br /><br />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285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mnxEW/btsFYsouRel/12lZag5Jm2GpY6PgeQ8CO0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mnxEW/btsFYsouRel/12lZag5Jm2GpY6PgeQ8CO0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dmnxEW%2FbtsFYsouRel%2F12lZag5Jm2GpY6PgeQ8CO0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285"/></span></figure>
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415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NfvQ/btsFYEWE90o/EiWqwhtEFIaGJ1xsbNXxl0/img.png" data-lightbox="lightbox" data-alt="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NfvQ/btsFYEWE90o/EiWqwhtEFIaGJ1xsbNXxl0/img.pn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oNfvQ%2FbtsFYEWE90o%2FEiWqwhtEFIaGJ1xsbNXxl0%2Fimg.pn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origin-width="600" data-origin-height="415"/></span><figcaption>자료 : 기획재정부, 재정동향 3월호</figcaption>
</figure>
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<br /><br /><span style="background-color: #ffffff; color: #222222; text-align: start;">원문보기 : <a href="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574" target="_blank" rel="noopener noreferrer">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574</a></span></p>
<figure id="og_1711001971163" contenteditable="false" data-ke-type="opengraph" data-ke-align="alignCenter" data-og-type="article" data-og-title="1월 재정수지 흑자 웬일인가 했더니…부가세 내는 달 -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" data-og-description="올해 1월 재정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.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가 11조 원 넘는 흑자였고, 사회보장성기금수지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 흑자도 8조원을 넘었다.하지만 통상 1월은 " data-og-host="www.mindlenews.com" data-og-source-url="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574" data-og-url="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574" data-og-image="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QZaEM/hyVDy0ajGq/SZvidfaSphbH1vaWhHIDc1/img.png?width=600&height=304&face=0_0_600_304,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djOSxh/hyVDzksKup/dgIEP8FwRzEEBF8aVLf5g1/img.png?width=600&height=324&face=0_0_600_324,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56SLk/hyVDChb2is/VgtG4ZGK0sZz0cd7Gy24kk/img.png?width=600&height=321&face=0_0_600_321"><a href="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574" target="_blank" rel="noopener" data-source-url="https://www.mindle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7574">
<div class="og-image" style="background-image: url('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QZaEM/hyVDy0ajGq/SZvidfaSphbH1vaWhHIDc1/img.png?width=600&height=304&face=0_0_600_304,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djOSxh/hyVDzksKup/dgIEP8FwRzEEBF8aVLf5g1/img.png?width=600&height=324&face=0_0_600_324,https://scrap.kakaocdn.net/dn/56SLk/hyVDChb2is/VgtG4ZGK0sZz0cd7Gy24kk/img.png?width=600&height=321&face=0_0_600_321');"> </div>
<div class="og-text">
<p class="og-title" data-ke-size="size16">1월 재정수지 흑자 웬일인가 했더니…부가세 내는 달 - 세상을 바꾸는 시민언론 민들레</p>
<p class="og-desc" data-ke-size="size16">올해 1월 재정수지가 흑자를 기록했다.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가 11조 원 넘는 흑자였고, 사회보장성기금수지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 흑자도 8조원을 넘었다.하지만 통상 1월은</p>
<p class="og-host" data-ke-size="size16">www.mindlenews.com</p>
</div>
</a></figure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